전체 글20 주식과 현금의 배분? 비중? 0. 주식과 현금의 투자 배분 안전한 투자자의 포트폴리오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이면서 안전한 투자를 위해서는 주식 비중과 현금 비중을 함께 생각해야 합니다. 기본은 주식과 현금 5대 5의 비율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주식시장이 약세장인지 또는 강세장인지에 따라 비중 조절이 필요합니다. 만약 주식시장이 약세장이고 종목들이 가치 대비 저렴한 수준의 가격이라면 주식의 비중은 올라가고 현금의 비중은 낮아져야 합니다. 1. 일반 투자자들의 주식 배분 변화 위의 내용처럼 주식 시장이 좋냐 나쁘냐에 따라 주식 비중을 조절하는 것은 미리 말하자면 쉽지 않습니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변화를 거부하고 현재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단정 짓기 때문입니다. 또 한 가지 이유는 욕심과 두려움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2023. 1. 29. 코스피 4000을 대비한 전략 0. 주식 가격은 한계가 존재한다. 회사의 매출과 수익은 한계가 존재합니다. 계속해서 매출이 늘 수 있지만 분기 또는 한 해 동안 벌 수 있는 금액은 한계가 있는 것이죠. 주식의 가격도 마찬가지입니다. 많은 사람에게 인기가 있는 주식이더라도 기꺼이 비싼 가격을 지불할 수 있는 주식이더라도 어느 가격 선에서는 멈춥니다. 주식투자를 할 때 위의 내용을 꼭 명심하고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연도별 다우존스 지수와 이후 장세를 전망했던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1. 1948년부터 1964년까지의 다우존스 지수 변화 1948년 다우존스 지수 180 1948년 다우존스의 지수는 180을 가리키고 있었습니다. 상장된 종목의 가치를 평가해도 실제 가치에 비해 지수가 높지 않았습니다. 전망은 '더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로 .. 2023. 1. 26. 화폐환상과 인플레이션이 계속되는 이유 0. 화폐환상 물가의 상승률이 4%이고 연봉이 2%로 상승하는 경우와 물가는 오르지 않고 연봉이 2% 감소하는 경우를 비교해 봅시다. 후자의 경우보다 전자의 경우에 사람들은 기쁨을 느낍니다. 하지만 다시 생각해 보면 두 가지 모두 동일한 상황입니다. 물가의 상승률을 생각하면 말이죠. 위에서 본 것처럼 연봉의 변화는 체감상 큰 자극으로 다가옵니다. 한 가지 사례를 더 보겠습니다. 1980년 미국의 은행 예·적금 금리 11%였습니다. 적금을 하는 사람들은 아주 기뻐했었죠. 또 2003년 은행의 예·적금 금리는 2%였습니다. 이에 사람들은 많은 실망감을 쏟아 냈습니다. 그런데 이때 물가의 상승률을 대입하여 계산해 보면 1980년에 실제로는 손실을 본 것이었고 2003년에는 물가의 상승률을 앞질렀기 때문에 이득.. 2023. 1. 21. 주식 활황기에는 어떤 투자 기법이든 효과적입니다. 0. 주식투자에서 중요한 3가지 주식투자에 관해서 그레이엄은 정확히 결론을 내렸습니다. 주식 투자란 근거를 가지고 투자금의 안전한 운영과 적정한 수익을 노리는 것이라고 말입니다. 주식투자에는 세 가지를 중요하게 여겨야 합니다. 첫 번째는 주식을 매수하기 전에 종목에 해당하는 회사가 재무적으로 잘 관리되고 있는지와 회사 자체에 대해 많은 분석을 해야 합니다. 두 번째는 투자로 인해 돈을 잃지 않고 자신을 보호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세 번째는 지나친 성과를 노리기보다는 적당한 수익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주식투자를 한다면 투자하는 회사에 대해 철저한 평가를 해야 합니다. 그 평가를 기준으로 적정 주가를 찾아야 합니다. 하지만 투기를 하는 사람은 어떤 기준이나 근거가 없이 행운에 맡겨 주가가 오르길 빕니다.. 2023. 1. 15. 이전 1 2 3 4 5 다음